사업마당
부산광역시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의 사업을 안내합니다.
정보마당
부산광역시 장애인 보건·의료·복지정보를 알려드립니다.
노인 등 취약계층의 안전을 위한 응급안전안심서비스 10만 가구 확대 제공
관리자
등록일2023-06-19 10:54:08
512
보건복지부(장관 조규홍)는 「독거노인·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」 3차 사업이 본격 시행되어
추가 10만 가구에게 서비스를 확대 제공한다고 밝혔다.
본 서비스는 홀로 사시는 어르신과 보호가 필요한 장애인을 대상으로,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장비를
집안에 설치해 화재 등 응급상황 및 활동이 감지되지 않는 상황에 119로 자동 신고하는 등 구급·구조를 지원하는 사업이다.
2022년 말 기준 총 20여 만 가구에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. 작년 한 해 조치된 응급상황 및 신고는 총 16만 3,268건이었다.
▲응급버튼을 통한 신속 신고 1만 7,950건 ▲화재로 인한 자동 신고가 6,265건
▲활동이 감지되지 않아 낙상, 고독사 등이 의심되어 응급관리요원이 안부를 확인한 경우 13만 9,053건이었다.
울산의 70대 어르신은 심근경색 시술 후 댁에서 코피가 멈추지 않자 응급버튼을 눌러
신속히 119의 도움을 받아 치료하였다. 전북 완주군의 80대 어르신은 외출 중 자택에 화재가 발생하였으나
화재감지기가 자동으로 119에 신고해 피해를 최소화했다. 또한, 전북 정읍시에서는 80대 어르신이 저혈당 쇼크로 쓰러져
활동이 감지되지 않자 응급관리요원이 보호자 확인 후 현관문을 개방하여 응급실로 이송해 생명을 구하기도 하였다.
2023년 본격 시행되는 3차 사업은 “살려줘”를 외치면 곧바로 119에 신고하는 음성인식 기능과
활동이 감지되지 않은 대상자에게 안부전화를 하는 인공지능 케어콜 서비스 등 발전된 기술을 추가로 도입하였다.
가까운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 또는 전화로 본인 및 대리인이 신청할 수 있다.
보건복지부 염민섭 노인정책관은 “발전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지역사회에 계시는 노인·장애인 등
안전 취약계층에 빈틈없는 안전망을 제공하고자 한다”라며, “사업 분석을 통해 안전 확인이 필요한 대상자를 앞으로도 계속해 확대해 나가겠다”라고 말했다.
출처 : 보건복지부 (https://www.mohw.go.kr/react/al/sal0301vw.jsp?PAR_MENU_ID=04&MENU_ID=0403&page=2&CONT_SEQ=376697)
이전글 | 국민연금 부양가족연금·유족연금 대상, ‘심한 장애인’까지 확대 | ||
---|---|---|---|
다음글 | 장애인 보조기기(전동휠체어 등) 지원 확대 |